티스토리 뷰
AI면접은 모든 기업에서 진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취업 준비생이라면 1번쯤 시험을 보게 될 정도로 최근 대기업, 공기업 등에서 보편화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별다른 수고로움 없이 면접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실상 적성검사와 유사한 '게임' 진행이 있기 때문에 인적성 검사까지도 상당 부분 대체할 수 있어 1석 2조이다. 더욱이 코로나 시기에 거리두기 정책으로 AI검사의 효용성은 더 많이 증가했다. 그렇다면 취업준비생들은 AI면접을 어떻게 준비하는 것이 좋을까?
1) 사전 세팅은 필수
AI면접을 막상 시작하려고 하면 컴퓨터 환경에 따라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생각보다 높다.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날에 응시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만약 시간이 없어서 마지막날에 응시 하더라도 그 전날에 노트북 세팅 등 시작버튼만 누르면 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미리 점검을 모두 해놓아야 한다. 만약 시스템 오류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채용 담당자에게 연락해야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점검은 되도록 평일에 해보는 것이 좋다.
2) 실제 면접처럼 연습
AI면접을 처음 보게 되면 부담스럽지만 그래도 실제 면접보다는 마음이 가볍고 긴장감이 덜하다. 또한 사람과 면접을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인지 화상 면접보다도 마음이 더 가볍다. 그래서 방심하여 AI면접을 열심히 준비 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하지만 AI면접은 어디까지나 채용 전형 중 하나이며, AI가 면접 후에 그 결과를 구체적인 등급이나 점수가 담긴 레포트로 산출한다. 따라서 인적성 전형처럼 1점 차이로 합격의 희비가 엇갈릴 수 있는 잔인한 전형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AI면접을 보면서 지나치게 긴장해서도 안되지만 너무 마음 놓고 하는 것도 위험하다.
또한 화상면접과 달리 면접의 전체 과정이 녹화되기 때문에 내 실수와 말을 더듬는 것까지 모두 기록된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여러번 보면서 면접 이상으로 좀 더 세밀하게 표정 등을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앞서 다룬 화상면접 준비 방법처럼 카메라 응시, 주변 환경 정리 등을 완벽히 해두자.
3) 연습게임 마스터 필수
AI전형을 시작하면 Test항목에 대한 안내가 제시된다. AI면접은 몇개의 업체가 있는데 대부분의 진행 스타일은 면접과 게임 2가지로 나뉜다. 보통 이런 안내는 스킵하는 경향이 있는데 게임의 경우는 무조건 주의 깊게 봐야 한다. 왜냐하면 게임은 기존 인적성 검사에서 적성 검사를 일부 대체하는 만큼 게임을 얼마나 잘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항목별로 점수가 나오기 때문이다.
필자는 마이다스에서 진행하는 AI면접을 직접 해본 적이 있는데 게임의 난이도가 생각보다 높아서 적성검사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다고 느꼈다. 그렇기 때문에 게임에 대한 준비도 적성검사처럼 미리 풀어보고 경험하는 것이 좋다. 보통은 게임에 대한 안내 및 튜토리얼을 응시 전에 미리 제공하는데 이 튜토리얼을 쓱 한번 읽고 넘어갈 것이 아니라 완벽해질 때까지 반복하여 100점이 나올 때까지 연습하면 좋다. 그리고 실전에 돌입할 경우 연습게임보다 난이도가 더 높아져서 당황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AI면접이 처음이라면 시험 후기들을 보면서 감을 잡아놓도록 하자.
'취업 팁 > 인적성전형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적성 벼락치기는 효과가 있을까?(현직자팁) (0) | 2018.07.25 |
---|---|
대기업 적성검사 꿀팁(HR현직자) (0) | 2018.06.13 |
대기업 인성검사 꿀팁(현직자썰) (0) | 2018.03.28 |
[취업팁] 인적성검사 레알 이해하기 (0) | 2018.01.20 |